본문 바로가기

컴퓨터/OS

[OS] 라즈베리파이 시리얼로 터미널 붙기(모니터, ssh 없이 라즈베리파이 연결하기)

반응형

라즈베리파이 사용시 어디 고정해서 사용하는게 아니라

들고다니면서 포터블로 사용할 경우 접속하기가 꽤나 귀찮습니다!

휴대폰으로 핫스팟 키고 ssh를 붙던 vnc로 붙던 해줘도 되고

키보드 마우스 들고 작은 휴대용 LCD를 붙여줘도 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UART로 시리얼 통신해서 붙는 것 같습니다!

 

준비물은 

UART가 가능한 시리얼 USB를 준비해 주시면 됩니다.

없으시면 아두이노로 UART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건 추후 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저는 여러 규격의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http://vctec.co.kr/product/6-in-1-usb-%EC%8B%9C%EB%A6%AC%EC%96%BC-%EC%BB%A8%EB%B2%84%ED%84%B0-6-in-1-usb-to-serial-converter/18812/

 

6-in-1 USB 시리얼 컨버터 (6-in-1 USB to Serial Converter) - 가치창조기술

One module has six functions. This 6-in-1 multifunctional serial converter supports USB-TTL, USB-232, USB-485, TTL-232, TTL-485, and 232-485 converting functions and is 3.3V/5V compatible. It works well with mainstream operating systems such as Windows and

vctec.co.kr

이 6 in 1 시리얼 컨버터를 사용해 주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방법은

https://r3dzone.tistory.com/85

 

[OS] 라즈베리파이에 OS설치하기!

라즈베리파이4가 생겨서 기존에 쓰던 라즈베리파이2의 sd카드를 옮겨주고 라즈베리파이2가 방에서 돌아다니게 되서 하드웨어 해킹용으로 하나 또 세팅해줄까 합니다. 일단 OS를 micro sd에 올려줘

r3dzone.tistory.com

위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제 OS가 설치된  마이크로 SD카드를 PC에서 열어줍시다.

필요한 파일은 OS가 설치된 마이크로 SD카드 루트디렉토리에 위치한 config.txt 파일입니다.

이 파일에서 라즈베리파이의 여러 low-level 세팅이 저장되어있습니다.

텍스트 에디터로 이 파일을 열고 맨 마지막에 

enable_uart=1

이 라인을 추가해줍시다.

uart를 켜주는 문구입니다!

위와 같이 추가해주고 저장해줍시다.

이제 설정이 저장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꽂아주면 라즈베리파이에서는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Mac이나 PC로 넘어가 줍시다!

USB 단자에 시리얼 케이블을 연결해준 뒤

터미널에서 /dev 디바이스 디렉토리에 가준뒤 연결해준 usb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해주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serial로 잡히기 때문에 grep 명령어를 통해 serial 이름이 붙인 장치가 있는지 확인해주었습니다.

연결했을때는 두개가 잡히고 연결하지 않았을때는 아무것도 잡히지 않네요!

 혹시 grep serial을 하였으나 장치가 뜨지않는다면 dev폴더를 잘 찾아보시면 인식된 usb를 찾으실 수 있을겁니다.

그럼에도 나오지 않는다면 시리얼 케이블의 드라이버를 한번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자 이제 Mac쪽도  세팅이 끝났으니 usb 시리얼 케이블과 라즈베리파이를 연결해줍시다!

연결은 pinmap을 보고 진행하주면 됩니다.

https://pi4j.com/1.2/pins/model-2b-rev1.html

 

The Pi4J Project – Pin Numbering - Raspberry Pi 2 Model B

Expansion Header The Raspberry Pi 2 Model B board contains a single 40-pin expansion header labeled as 'J8' providing access to 28 GPIO pins. (Pins 1, 2, 39 & 40 are also labeled below.)

pi4j.com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가 사용하는 pi2b 모델이 보이지 않아 이곳에서 pinmap을 확인해 주었습니다.

그 중 필요한 것은 UART의 TX핀과 RX핀입니다.

Pi2B 모델 기준으로 8번 10번 핀이네요

8번 10번 핀에 케이블을 연결해줍시다.

8번(TX)에 노란색 케이블

10번(RX)에 초록색 케이블입니다.

라즈베리파이에 연결을 해주었으니 이제 USB 시리얼에 케이블을 연결해줍시다.

USB TX에 초록색 케이블

RX에 노란색 케이블을 꽂아 줍시다.

Pi TX(8번 pin) - 노란색 케이블 - USB RX
Pi RX(10번 pin) - 초록색 케이블 - USB TX

이렇게 TX-RX를 반대로 꽂아주는 이유는 보내는 쪽(TX) 데이터를  받는 쪽(RX)에서 수신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TX-TX로 연결하면 서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니까 의미가 없겠죠?

이제 다시 usb를 mac에 꽂아 준 뒤

 

터미널에서 screen명령어를 통해 접속해주면 됩니다.

screen /dev/tty.usbserial-0001 115200
screen "시리얼케이블" "보레이트"

로 사용가능하고 보레이트는 라즈베리파이의 기본 보레이트인 115200을 입력해줍시다.

짠~ 시리얼 통신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성공했습니다.